경제학

재무분석 : 자본구조 분석

체크보드 2023. 12. 11. 20:34

자본구조 분석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은 세 가지이다. 첫째는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차입하는 것이고, 둘째는 주식을 매각하거나 주주로부터 조달하는 것이며, 셋째는 기업의 고유목적사업을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팔아서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금조달방법은 나름대로의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다.

 

부채는 공급처, 은행 등 타인으로부터 자원이나 자금을 빌린 후 일정기일 후에 이자와 함께 상환하는 것이다. 만일 자금을 빌린 경우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은 기업으로 하여금 여러 가지 요구조건을 제시할 수 있는데, 이를 '부채약정서(debt convenant)'라고 한다.

 

 

부채는 반드시 나쁜 것만은 아니다. 부채 또한 유익하게 사용할 경우 이익을 얻을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즉 부채를 활용하여 더 좋은 이익창출기회를 얻은 후 이자를 상환하고서도 이익을 얻는다면, 부채 또한 기업에 좋은 자금조달방안이다. 일반적으로 부채로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 주주 등으로부터 조달하는 경우보다 조달비용이 낮다. 왜냐하면 지급이자는 세금에서 공제되며, 주주들은 미래 청산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보다 높은 수익률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자는 정해진 약정에 따라 지급되므로 부채를 활용한 사업이 이익을 낼 수 없을 경우 이자부담이 크게 늘어나 곤란한 상황에 빠질 수 있다.

저가자본으로 조달하는 경우 가장 어려운 점은 사업내용으로 자금공급자인 투자자들을 설득하는 것이다. 투자자, 즉 주주들은 자신의 주식가치 극대화 및 많은 배당을 요구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기업은 많은 이익을 창출하여 훌륭한 재무적 성과를 달성해야 하는 부담을 가지게 된다. 심지어는 단기적 이익을 위해 장기적 이익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특히 배당을 위해서는 많은 현금을 보유해야 하는 부담을 가지게 된다.

 

 

1. 부채비율

부채비율 = 부채 / 자기자본

부채비율은 비교적 단순한 지표로 재무상태표 대변항목의 상대적 구성비를 나타낸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업이 자금을 부채, 자기자본 혹은 내부이익 중 어느 부분을 통해 조달하였는지 알려준다. 자기자본이 클수록 재무구조가 안정적이며 분자인 부채가 클수록 부담이 커지게 된다. 

 

2. 차입금의존도

차입금의존도 = 차입금 / 총자산(총자본)

부채는 이자부담이 있는 부채와 이자부담이 없는 부채로 구성된다. 실제로 기업이 자금부담을 느끼는 것은 정기적으로 이자가 지급되는 부채, 즉 차입금이다. 따라서 부채비율보다는 실제로 이자가 지급되는 차입금만을 고려한 차입금의존도를 사용하는 것이 나을 수 있다.

 

3. 이자보상배율

이자보상배율 = 이자비용차감전이익 / 이자비용

이자보상배율은 차입금의존도를 포괄손익계산서 측면에서 본 것으로 실제 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이익규모가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을 갚을 수 있는 정도인지 보는 것이다. 이자보상배율이 1배를 넘는다면 영업활동을 통해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고 본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정보의 활용 : 신용평가2  (0) 2023.12.15
회계정보의 활용 : 신용평가1  (0) 2023.12.15
재무분석 : 수익성 분석  (0) 2023.11.30
재무분석 절차2  (0) 2023.11.28
재무분석 절차  (0) 2023.11.28